진지한이야기

태양에 크기 성질 자기장 물질 구조 본문

우주

태양에 크기 성질 자기장 물질 구조

진지한이야기 2020. 2. 25. 14:35

 이번글에서는 태양에 대하여 크기 성질 자기활동 물질특성에 대하여 알아보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태양의 크기를 설명하면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큰 크기를 가지고 있는 천체입니다. 태양의 지름을 설명드린다면 139만 2천 km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와 비교해본다면 109배 이상 크다고 알려져 있죠. 질량또한 지구와 비교해 본다면 33만배 더 무거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계 소속되어 있는 행성의 전체 질량의 약 99.86%를 차지할 만큼 큰 크기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태양은 지구의 거리는 1억 4960만km 거리가 있습니다. 

지구와 태양의 공전괘도를 생각해본다면 타원 궤도를 따라서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그래서 태양과 지구의 거리는 1월일때 가장 가까고 7월에 가장 거리상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태양에서 빛이 출발하여 지구까지 도착하는 시간은 8분 20초의 시간이 소모가 됩니다. 또한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근접히 있는 G2형 주계열성 입니다. 태양의 표면 온도는 절대 온도 기준으로 5,860 K이다. 태양의 절대등급은 플러스 4.83 으로 굉장히 밝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의 겉보기등급은 마이너스 26.74로 굉장히 밝게 보인다. 지상에서 관측할수 있는 가장 밝은 천체 시리우스보다 130억 배 밝게 보인다고 합니다. 태양의 빛이 지구에 도착하고 태양복사에너지로 식물의 광합성에 이용되고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의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활을 하는 아주 중요한 천체입니다. 태양은 자기활동을 하는 천체중 하나입니다. 태양의 자기활동중 가장 대표적인 자기활동은 흑점을 뽑을수 있습니다. 자기활동으로 인하여 태양풍과 코로나를 만들고 있습니다. 태양이 자기 활동을 하며 지구의 가장 큰 변화를 꼽는다면 지구의 자기장에 변화를 일으켜 자기장 폭풍을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태양의 표면자기장은 11년을 주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태양의 자기장 활동이 가장 많을때를 흑점극대기라고 표현합니다. 반대로 표면 자기장활동이 작은 활동을 흑점극소기라고 표현합니다. 태양의 내부는 몇개의 층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우선 태양의 복사층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태양의 복사층은 태양의 반지름에 4분에 1에 가장 많은 70퍼센트에 해당하는데요. 물질의 온도가 높고 밀도가 높습니다. 복사층의 밑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700만K 에서 200만K로 떨어지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밀도 또한 복사층의 상층부로 가면서 밀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100분에 1 만큼 감소하게 됩니다. 복사층 다음은 대류층입니다. 태양의 대류층은 대류층안에서 열적대류가 일어지게 됩니다. 표면에서 열을 발산하고 대류층 바닥으로 가라앉는 대류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렇게 대류층 상층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과정을 지구에서 관측한다면 쌀알무늬로 관측을 하게 됩니다. 태양의 복사층과 대류층 사이에 타코클라인이라는 전이층이 있습니다. 타코클라인은 복사층의 단일회전과 대류층의 차등회전의 사이에 미묘한 주도권 교체가 일어나는 곳 입니다. 대류층과 가까운 타코클라인인 경우 대류층의 성질과 비슷하게 현상이 발생합니다. 태양에 자기장이 만들어지는 구역입니다. 태양은 우리 지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천체입니다. 없으면 안되는 천체이므로 알고 있는 사항이 많은면 나쁘지 않을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Comments